728x90 반응형 지구과학20 외계 행성계와 외계 생명체 탐사 태양계 밖에 존재하며 별 주위를 행성이 공전하는 행성계를 외계 행성계라고 합니다. 그런데 행성은 별의 밝기에 비해 매우 어둡기 때문에 외계 행성을 직접 관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외계 행성계 탐사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두 천체가 중력으로 묶여 있으면 이들은 공통 질량 중심 주위를 회전 운동합니다. 별 주위에 행성이 돌고 있는 경우에는 행성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별의 위치 변화는 행성만큼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구에 있는 관측자의 시선 방향으로 별의 속도가 주기적으로 변하여 도플러 효과를 일으키므로, 별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면 행성의 존재를 알 수 있습니다. * 도플러 효과: 파동의 발생원이 관측자에게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때.. 2023. 6. 1. 별의 에너지원과 내부 구조 태양은 비교적 작은 별이지만, 중심부에서는 핵융합 반응으로 1초에 4 × 10의 26제곱 J의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습니다. 우주 공간에는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별들이 무수히 많이 존재합니다. 원시별의 에너지원 우주 공간에서 별은 성간 기체의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을 때 탄생합니다. 성간 기체의 밀도가 높아야 서로 잡아당기는 중력이 크게 작용하여 뭉쳐질 수 있고, 온도는 낮아야 기체가 서로 밀어내는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기체압보다 중력이 크게 작용하는 곳에서는 분자 구름이 중력 수축을 하여 그 중심에서 원시별이 만들어집니다. 주위의 물질이 계속하여 원시별로 떨어지면 질량이 증가하고 중심부의 온도가 계속 상승합니다. 이때 원시별 표면으로 떨어지는 물질의 위치 에너지가 열에너지와 운동 에너.. 2023. 6. 1. 별의 탄생과 진화 별의 탄생 과정 별은 절대 온도 10K 정도의 성간 물질이 밀집된 성간 분자 구름에서 수십만 년 내의 짧은 시간에 수천~수만 개씩 무리 지어 탄생합니다. 밀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분자 구름에서는 중력이 크게 작용하므로 물질들이 수축하여 중심핵을 이루게 되며, 점차 성장하여 원시별을 형성합니다. 원시별은 주위 물질들을 끌어당겨 밀도가 점차 높아지고, 표면 온도가 상승하여 1000K에 이르면 서서히 빛을 내기 시작하는데, 이 단계를 전주계열 단계라고 합니다. 대규모의 성간 분자 구름에서 별들이 동시에 태어날 때 질량이 0.1M⊙~1.0M⊙ 정도인 별이 가장 많으며, 태양 질량의 0.08배에서 100배 정도까지가 한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 질량의 0.08배 이하로 태어난 별은 중심부에서 수소 핵융합.. 2023. 5. 31. 별의 물리량 오리온자리를 자세히 관찰하면 별들의 색과 밝기가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베텔게우스와 리겔은 각각 붉은색과 청백색을 띠며 다른 별들보다 밝게 보입니다. 과학자들은 이처럼 별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물리량으로 뭇별을 분류합니다. 별의 색과 표면 온도 별의 색이 다양한 것은 별마다 표면 온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별의 색과 표면 온도의 관계는 흑체의 성질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흑체란 입사된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고 방출하는 이상적인 물체를 말합니다. 흑체는 온도가 높을수록 모든 파장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또, 고온의 흑체일수록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이 짧아집니다. 즉, 흑체의 온도와 최대 에너지를 방출하는 파장사이에는 빈의 변위 법칙이 성립하게 됩니다. 별은 흑체와 유사하게 온도에 .. 2023. 5. 31.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